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장보기의 달인] 감귤 고르는 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2-14 08:40:03      ·조회수 : 3,069     

[장보기의 달인] 감귤 고르는 법
꼭지가 갈색 또는 말라서 어두운 색은 신선도 떨어져

살림하는 주부가 물건을 고르는 일은 참 어렵습니다. 냄비 하나, 이불 하나 고르는 것도 쉽잖은 일이지만 농수산물의 경우에는 어떤 것이 맛있고 신선한 제품인지 늘 고개를 갸우뚱하며 물건을 사야하는 경우가 많지요. 예전에는 어머니가 딸과 며느리를 데리고 장을 보러 다니며 일일이 가르치기도 했지만, 요즘에는 힘든 일입니다. 그래서 ‘장보기의 달인’ 코너를 통해 물건 제대로 고르는 팁(tip)을 알려드립니다. 상품 매입을 담당하는 유통업체 바이어의 까다로운 눈과 오랜 경험으로 터득한 ‘달인의 비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편집자주>
감귤은 겨울철 비타민을 보충해 주는 최고의 제철 과일로 손꼽힌다. 고려시대 문헌에서는 고려왕가에 공물로 바쳐진 기록이 있으며, 조선시대 역시 왕가에서 제주도에 관리를 파견해 귤나무를 관리할 정도로 귀한 과일로 취급받았다.

감귤은 출하시기별로 극조생, 조생, 중만생, 비가림, 하우스귤로 나눌 수 있다. 노지감귤 중 가장 먼저 출하되는 극조생귤은 9월부터 착색돼 10월 중순경 수확한다. 제주를 대표하는 조생감귤은 소비자가 가장 쉽게 접하는 상품으로 껍질이 얇고 먹기에 편하며 당도가 12% 내외로 식미가 좋다.

최근에는 중만생 감귤도 조생귤과 더불어 일반 조생귤로 사용되기도 한다. 중만생귤은 보통 12월에 수확해 저장했다가 출하하며 속껍질은 약간 질긴 편이나 당도가 높다. 근래에는 하우스감귤의 재배로 인해 연중 감귤을 맛볼 수 있게 되다. 하우스감귤은 겨울에 난방시설을 가동해 인위적으로 수확기를 조절한 것으로 4~9월까지 수확이 가능하다. 또 요즘은 감귤류의 종류가 다양해져 한라봉, 천혜향, 진지향, 레드향 등 다양하고 향과 맛이 탁월한 상품들이 계속 개발돼 건강과일로 각광받고 있다.

동아백화점 청과 바이어 박동만 대리는 좋은 감귤을 고르기 위해서는 “먼저 손으로 만져봐야 한다”고 했다. 만져서 너무 딱딱한 경우는 껍질이 두꺼워 껍질 벗기기도 힘들 뿐 아니라 신맛이 강하다는 것. 또 너무 물렁한 경우 역시 감귤 특유의 싱그러운 맛을 느낄 수 없으며, 물건이 배송이나 보관 중 치이거나 혹은 너무 오랜 기간 익혀서 신선도가 낮은 상품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클수록 좋다는 선입견은 감귤에는 통하지 않는다. 중간 크기의 감귤이 가장 맛이 좋다고. 박 대리는 “보통 크기로 비교하였을 때 작은 것은 신맛이, 큰 것은 단맛이 상대적으로 더 나는 편이므로 중간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신선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꼭지를 확인해봐야 한다. 꼭지가 갈색 또는 말라서 어두운색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녹색을 띤 상품보다는 보통 신선도가 떨어진다는 것이 전문 바이어가 알려주는 팁이다.

박 대리는 “감귤은 배송 과정 등을 염려해 약 80% 정도 익은 상황에서 보통 출하하기 때문에 간혹 설익은 듯한 녹색부분을 띤 감귤도 있을 수 있다”며 “이런 경우 보통 실내에서 3~5일 정도 보관하면 노랗게 익기 때문에 마음놓고 드시면 된다”고 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96 제주감협-농진청, 브랜드감귤대학 운영 기획정보과 2012-04-13 2220
695 글로벌 유통기업 '빅바이어' 제주 온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784
694 제주선과장 비파괴 광센서로 바꾼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960
693 한미FTA 발효후 오렌지값 하락(한라봉 등 제주감귤 생존 시험대) 기획정보과 2012-04-13 1575
692 "道 FTA 대응 방안 실효성 떨어진다" 기획정보과 2012-04-05 1763
691 감귤 당도 높이기 2단계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2-04-05 1951
690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기획정보과 2012-04-03 2858
689 사상 첫 감귤조수입 7000억원 돌파 기획정보과 2012-03-26 1545
688 정부에 감귤 농무관제 도입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26 1775
687 FTA 감귤산업보호 법제화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2279
686 무관세 미국 오렌지 수입 노지감귤 시장 교란 기획정보과 2012-03-16 2803
685 제주경제 피해규모 최소화 기획정보과 2012-03-16 2228
684 감귤 1만톤 수출 인프라 구축 관건 기획정보과 2012-03-09 2504
683 제주도 시장개방 대응 중앙절충 강화 기획정보과 2012-03-08 2199
682 고품질감귤 생산교육 농업인 관심 고조 기획정보과 2012-03-05 2926
681 제주 감귤식품 클러스터 육성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05 2470
680 11월 출하 브랜드 감귤 수입 짭짤 기획정보과 2012-02-29 5326
679 2012년산 감귤 간벌사업 시동...500ha 면적서 시행 기획정보과 2012-02-27 2253
678 제주지역 피해 현실화되는 한·미FTA 기획정보과 2012-02-27 1905
677 한중FTA 발효되면 10년간 감귤 1조6천억 피해 기획정보과 2012-02-21 402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