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계획생산·휴경명령’제도 도입 어떨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2-14 08:53:15      ·조회수 : 1,943     

감귤 ‘계획생산·휴경명령’제도 도입 어떨까?

구성지 의원, 노지감귤 안정생산 위한 정책제언

제주감귤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획생산제’시행 및 ‘농경휴경제’ 도입 등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정책제언이 나왔다.


▲ 구성지 의원(안덕, 한나라당). ⓒ제주의소리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 구성지 의원(안덕, 한나라당)은 11일 속개된 제279회 임시회에서 제주도(농축산식품국)로부터 2011년도 주요업무를 보고받는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구 의원은 먼저 제주감귤산업의 중요성과 관련해 제주지역 1차 산업의 비중(18.8%)이 전국 평균(2.7%)에 비해 6~7배나 높고, 제주지역 1차 산업 조수입(2조5793억) 중에서 23.3%(6011억)을 감귤이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제주감귤을 살리기 위한 농가의 간벌, 휴식년제, 적화·적과 등의 감산정책으로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우뚝 설 수 있었다고도 했다. 하지만 일부 ‘무임승차’하는 농가들 때문에 효과를 거양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구 의원은 “올해산 노지감귤은 해거리 현상으로 안정생산량 5만8000톤보다 8만9000톤이 많은 6만6900톤까지 생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면서 “제주도가 수립한 현재의 2만2000톤 감산정책 및 8만9000톤 처리대책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구 의원은 특히 “제주도가 올해 감귤 적정생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 이후 한달만에 1/2간벌 1000㏊, 휴식년제 1000㏊를 확대하겠다는 것은 수급예측을 못한 것”이라고 질책했다.

그러면서 구 의원은 ‘감귤 계획생산제 시행’과 농가별 ‘휴경명령제’ 도입을 제안했다.

구 의원은 “감귤생산량을 처음부터 계획해서 농가별 휴경명령제를 시행하고, 무임승차하는 농가에 대해서는 패널티를 강화한다면 감귤 안전생산을 통한 제값 받기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96 감귤 신맛 감소기술 개발 기획정보과 2011-01-31 2009
395 노지감귤 한파에 소비 꽁꽁…출하 설설 기획정보과 2011-01-28 2109
394 제주, 온주감귤 재배 100주년을 맞으며 기획정보과 2011-01-28 2040
393 불로초, 맛과 영양 최상의 감귤에만 부여 기획정보과 2011-01-28 2109
392 "감귤생육정보 온라인서 실시간 확인하세요" 기획정보과 2011-01-27 1928
391 ▣ 2011 도매시장별 설연휴 정기휴장안내 ▣ 기획정보과 2011-01-26 1956
390 제주 감귤 조수입 1조원 시대 연다 기획정보과 2011-01-26 1908
389 식품업계도 한파 탓에 '휘청' 기획정보과 2011-01-26 2008
388 감귤원 50% 간벌사업 총력 기획정보과 2011-01-25 1758
387 감귤박물관 활성화대책 불구 2% 부족 기획정보과 2011-01-25 2319
386 “官→농가자율” 감귤정책 ‘U턴’ 이번엔 잘 될까? 기획정보과 2011-01-21 1582
385 귤 농사로 ‘연봉 1억’을 번다고? 기획정보과 2011-01-21 1890
384 제주 수산물ㆍ감귤 설선물로 '인기' 기획정보과 2011-01-20 2192
383 제주 감귤나무 간벌사업 지원금 절반으로 줄여 기획정보과 2011-01-19 1929
382 폭설피해 감귤하우스 복구 ‘큰 힘’ 기획정보과 2011-01-18 1874
381 감귤원 1/2간벌 사업, 농업인 책임 체계로 전환 기획정보과 2011-01-18 2028
380 "한라봉과 감귤의 조합 레드향"< 기획정보과 2011-01-18 2002
379 알립니다. 관리자 2011-01-14 1776
378 제주, 시설·만감류 재배…2014년까지 20%로 확대 기획정보과 2011-01-14 2220
377 복숭아 하면 ‘무릉도원’…그럼, 감귤하면? ‘제주 무릉리’ 기획정보과 2011-01-13 244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