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한라봉의 '굴욕'..진지향, 천혜향에 밀려 매출 감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4-01-17 09:41:14      ·조회수 : 5,182     

[앵커]

새콤달콤한 맛과 진한 향이 일품인 한라봉의 인기가 예전만 못하다고 하는데요.

소비자들의 취향이 빠르게 변하면서 어느새 시대 뒤편으로 밀려난 한라봉의 속사정.

김지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한때 만감류 대표주자이자 고급 감귤의 대명사였던 한라봉.

하지만 지난해 매출이 40% 넘게 줄어들며 처음으로 '진지향'에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한라봉과 천혜향을 접붙인 '레드향'의 추격도 매섭습니다.

전체 만감류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한자릿수에 불과하지만 재구매율이 높습니다.

한라봉에 비해 껍질이 얇고 색이 붉으스름한 레드향은 당도가 높고 씹는 식감이 아삭하다는 평가입니다.

<김기연 / 서울 구로구 고척동> "먹어 보니까 나중에 먹은 레드향이 좀 더 단 것 같더라고요."

한라봉을 찾는 사람들이 줄어든 것은 무엇보다 다른 개량종과의 경쟁에서 밀렸기 때문입니다.

전체 매출의 절반을 독식했던 한라봉의 비중은 30% 대로 떨어진 반면 경쟁관계에 있는 신품종의 비중은 모두 증가했습니다.

한라봉은 주로 하우스에서 키우기 때문에 지난해 가뭄 피해를 보지 않았고 전남과 충북 등지에서도 재배를 시작하면서 출하량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 대형마트는 한라봉 농가의 어려움을 덜기 위해 가격을 대폭 낮춰 판매하기로 했습니다.

<이진호 / 롯데마트 신선식품 농산담당> "제주 농가의 경우 지난해 제주지역 신품종 만감류의 세력 확장과 더불어 제주 이외의 지역에서 한라봉 생산도 늘어나는 형국이라 농가의 어려움은 계속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기에 한라봉 감귤나무의 접목 부위에서 나온 뿌리인 '자근'도 과일의 품질을 떨어뜨려 농민들을 울리고 있습니다.

한라봉 전체 재배면적의 33%에서 자근이 발생하는데 연간 추정 피해액이 300억원에 달합니다.

농촌진흥청은 한라봉 묘목을 다시 심을 때 다른 국산 품종으로 대체할 것을 권고해 한라봉이 설 자리는 더욱 좁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뉴스Y 김지선입니다.

|

한라봉의 '굴욕'..진지향, 천혜향에 밀려 매출 감소

한라봉의 '굴욕'..진지향, 천혜향에 밀려 매출 감소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56 감귤 10년 구조조정 한계 … 가공식품 개발 한창 기획정보과 2010-12-27 4233
355 제주 감귤값 5년만에 최고치 기획정보과 2010-12-27 2339
354 농업 생산비를 줄이자 (22)·끝-자신만의 효율적 생산기술 개발 … 비용절감 실천 기획정보과 2010-12-22 2677
353 고가품부터 생계형 절도까지 극성 기획정보과 2010-12-22 3122
352 제철 맞은 '제주도 감귤' 부담 없이 즐기자 기획정보과 2010-12-22 2684
351 21일 감귤사업추진 워크숍 기획정보과 2010-12-22 2017
350 [제주]수출감귤 통합브랜드 ‘Sunbreeze’ 개발 기획정보과 2010-12-20 2003
349 수출감귤 통합브랜드 개발 '내년 첫선' 기획정보과 2010-12-20 2015
348 농기원, 돌발해충 지역네트워크 구축 기획정보과 2010-12-20 2081
347 연말 우편집중국은 기획정보과 2010-12-18 2171
346 감귤값 좋자 도난사고 잦아 … 농가 주의 요망 기획정보과 2010-12-17 2523
345 제주에서 감귤꽃 이용 화장품 개발 추진 기획정보과 2010-12-17 2242
344 지금 제주도여행지에선 제주 감귤 따기가 한창 기획정보과 2010-12-16 2389
343 설대목 물량 몰릴수도 … 출하시점 신중히 기획정보과 2010-12-15 2034
342 감귤원 폐원지 마땅한 대체작목없어 방치 기획정보과 2010-12-15 2022
341 제주감귤, FTA 시장개방에 ‘고품질’로 맞선다! 기획정보과 2010-12-15 1884
340 2010 소비자물가 올린 주범 ‘채소·과일’ 기획정보과 2010-12-14 2101
339 올해산 노지감귤 설 홍수출하 우려 기획정보과 2010-12-14 2128
338 온난화가 가져올 제주 감귤의 변화 기획정보과 2010-12-09 3253
337 감귤 곰팡이병 억제제 개발 기획정보과 2010-12-09 218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