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연 10억원 로열티 지불 예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2-09 12:24:56      ·조회수 : 2,270     

감귤이 올해부터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의 품종보호대상에 포함돼 앞으로 2~3년내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연간 10억원의 로열티를 지불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양미희 국립종자원 연구관은 8일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대강당에서 열린 '감귤 품종보호 대상작물 지정에 따른 과제와 전망' 심포지엄에서 '감귤 품종보호 대상작물 지정과 외국품종의 이용'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양 연구관은"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의 품종보호대상지정 및 일본 신규 육성품종 도입 확산으로 로열티 문제가 현실화 될 우려가 있다"면서 "하지만 개발된지 25년이 경과한 신품종 작물은 품종보호대상에서 제외돼 '감귤 로열티 사태'는 당장 초래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난 2009년 기준 전체 감귤재배면적 20,898ha의 50%이상이 30년이상 고목(12,600ha)으로 이를 신품종으로 과원을 갱신할 경우 연간 로열티 추정액은 10억원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양 연구관은 이에 따라 "정부는 민간육종연구단지(총270억원), 방사선육종센터(총 132억원), 채소류육종연구센터(10억원) 건립 등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국립종자원에 감귤류 품종보호 출원현황을 보면 탐나는 봉, 탐도 1호, 풍광, 골든베이비, 상도조생 등 5품종이고 미국품종은 탱골드 1품종이며, 제주도농기원은 오는 2014년까지 국산 감귤품종 3품종을 개발키로 하는 등 신품종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전용철 제주대학교수(생물산업학부)는 이날 '외국의 감귤 전염병 피해 사례(황농빙을 중심으로)란 주제발표를 통해 "아열대 지방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황농빙(Huanglongbing)이 지구 온난화로 인해 감염 지역이 점차 북상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의 플로리다주에 이 병이 새롭게 발생해 오렌지 농장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면서 "지구 온난화가 계속 진행될 경우 감귤 주 생산지인 제주에서도 이 병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만약 이미 발생되었을 경우 아직까지 방제 수단이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전 교수는 이에 따라 "황농빙이 유입되지 않게 국제 검역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매개충인 나무이 유입을 철저하게 막아야 한다"면서 " 간단하고도 정확한 진단 방법을 개발하여 감귤 재배 농가에 보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 한라일보 고대로 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36 애월·조천 감귤APC, 공정율 30% 순항 기획정보과 2010-12-08 2299
335 150일 일하는 감귤엔 ‘펑펑’, 역시 정치작목! 기획정보과 2010-12-06 2057
334 감귤랜드 민자유치실적 전무 기획정보과 2010-12-06 1782
333 노지감귤 소득률, 경쟁과일 중 최고 기획정보과 2010-12-06 2519
332 제주 감귤재배농가 고령화 '가속' 기획정보과 2010-12-06 1687
331 “3천원짜리 친환경감귤 보셨어요?” 기획정보과 2010-12-06 47376
330 노지감귤·당근농가 실질소득 감소 기획정보과 2010-12-06 2133
329 제주도, 연평도 피난 주민에게 감귤 전달 ‘위로’ 기획정보과 2010-12-06 1873
328 농산물 절도 근절시켜야 한다 기획정보과 2010-11-30 1981
327 노지감귤 40t 몽골 수출 기획정보과 2010-11-29 1893
326 감귤 '수확가위' 손보면 부패율 42.5% 감소 기획정보과 2010-11-29 2124
325 제주 농산물 러시아 수출 행보 빠르게 이어져 기획정보과 2010-11-29 1915
324 수출 1조원 정책, 제주도-행정시 ‘따로국밥’ 기획정보과 2010-11-29 1881
323 이스라엘산 햇 스위티 출시 기획정보과 2010-11-29 2159
322 서귀포시, 감귤 우량품종갱신지원사업 마무리 기획정보과 2010-11-29 2445
321 올해 노지감귤 52만9000t 생산 전망…2~8번 규격과 76.6% 기획정보과 2010-11-29 2140
320 감귤 1번과 출하 종용 괘씸해 기획정보과 2010-11-26 2039
319 연평도 피격으로 서울 제주감귤축제 전면 취소 기획정보과 2010-11-25 3081
318 화학비료 덜 쓰니까...제주 감귤원 토양 달라졌네 기획정보과 2010-11-25 1972
317 제철 노지감귤 가격 높지만 … 기획정보과 2010-11-24 233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