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모든 농작물에서 가장 방제하기 어려운 해충을 말해보라면
대부분 사람이 "응애(Mites)"라고 대답할 것이다.
감귤에서도 당연히 귤응애가 가장 방제하기 어려운 해충 중 하나이다.
이러한 방제하기 어려운 응애를 방제하는 방법은 농약을 전혀 살포하지 않으면 된다.
이상하게도 농약을 살포하지 않으면 응애는 저절로 사라진다.
주인이 없어 방치된 감귤원이나 도로 공사로 버려진 감귤원에서 귤응애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런 이유는 사람이 손대지 않는 방치과원에서는 귤응애의 발생을 억제하는
자연 밀도조절 작용이 살아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태계의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제기술을 서로 모순되지 않도록 사용하면서
해충발생을 경제적 피해 이하로 관리하는 해충방제 기술을 "해충종합관리(IPM)"이라고 한다.
본 글에서는 감귤원에서 발생하는 응애류의 생태학적 특성에 기반하여
이들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자세한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십시오.
<발췌 - 제주도농업기술원>
감귤천적응애.pdf 다운로드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