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제주감귤은 언제부터 재배됐을까?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13 09:27:49      ·조회수 : 2,016     

고려 문종때 세공 귤 수량 100포 개정 기록

제주감귤은 언제부터 재배됐을까 4/13 제주일보

우리나라에서 감귤이 재배된 것은 아주 오래 전이라고 전해오지만 확실한 기록은 없다.

‘고려사’ 세가 권7에 문종 6년(1052)에 탐라에서 세공(歲貢)하는 귤자(橘子)의 수량을 일백포(一白包)로 개정 결정한다고 돼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도 감귤이 진상됐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시대 ‘태조실록’에는 공부상정도감을 신설하여 귤(橘), 유(柚) 따위는 상공(기록대로 매년 상정되는 공물)이 될 수 없으므로 별공(필요한 것을 불시에 특별 차정하여 바치게 하는것)으로 했다고 기록돼 있다.

‘세조실록’ 권2에는 세조원년(14546) 12월 제주도안무사가 올린 장계를 보면 감귤은 제사와 빈객 접대용으로 중요하다는 것과 감귤의 종류별 우열 및 장려방안, 번식생리, 진상방안의 개선점에 대해 서술돼 있다.

한편 ‘대전회통’ 6권에는 소정의 감귤을 재배하는 자로 노비 계급에 있는 사람에게 노비계급을 풀어주고 그 밖에 사람은 면포(綿布)를 상으로 내렸으나 만약 힘써 가꾸지 못하여 나무가 죽게 되면 상으로 받은 것을 되돌려야 되며 복호된 사람은 노비계급으로 환원시킨다는 것으로 상벌 제도를 정해 감귤을 장려했다.

조선시대에는 동지를 전후해 임금에게 감귤을 진상했는데, 감귤이 대궐에 들어오면 이를 축하하기 위해 조정에서 성균관과 유생들에게 감귤을 나눠췄다고 한다.

이같은 문헌 기록에 따르면 제주도에서 감귤이 재배된 시기는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조선시대에는 도내 전역에 걸쳐 재배됐음을 추측할 수 있다.

<서귀포시감귤박물관 임상필 소장>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1 브랜드 감귤 생산을 위해서는 토양피복실시해야 관리자 2006-06-14 1748
50 맛있는 감귤 고르는 방법~!!! 관리자 2006-06-13 2522
49 [농사메모]하우스 밀감 수확기 관리요령 관리자 2006-06-13 2148
48 감귤착즙박의 활용을 위한 성분 검색 연구 관리자 2006-06-05 4096
47 칠레산 오렌지 및 레몬 수입금지 제외기준 제정 관리자 2006-06-05 1978
46 비상품감귤 출하하면 조합에서 '영구제명' (일본) 관리자 2006-06-02 2781
45 공동출하·공동정산·비파괴선과 '당연' (일본) 관리자 2006-06-02 2203
44 제주도감귤생산및유통에관한조례시행규칙중 개정규칙안 입법예고 관리자 2006-06-01 1945
43 제주 농작물 병해충 발생 예찰 및 방제정보(예보 8호) 관리자 2006-06-01 1718
42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은 545~598천톤 관리자 2006-06-01 1648
41 자주식(自走式)파쇄기 관리자 2006-05-30 2975
40 밀식은 제주 감귤 품질향상의 걸림돌, 소비자 원하는 맛 좋은 감귤생산 위해 간벌 필수 관리자 2006-05-30 1409
39 이젠 대체연료 "간벌폐목재 화려한 변신" 관리자 2006-05-30 2455
38 6월중 작목별 농업정보 관리자 2006-05-29 1889
37 간벌 [間伐, thinning] 이란???? 관리자 2006-05-29 2291
36 감귤의 출하조절 모형 구축 관리자 2006-05-29 1923
35 제주특산 농산물이용 가공소재 개발 연구(감귤정유성분 추출방법 구명) 관리자 2006-05-29 32238
34 중국 감귤산업의 특징과 문제점 관리자 2006-05-29 3411
33 감귤관측정보(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리자 2006-05-26 1955
32 감귤수출의조건(일본시장공략) 관리자 2006-05-26 151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