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관측정보(8월-감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7 13:26:48      ·조회수 : 2,847     

제목 없음 -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2006년 8월 감귤가격동향

■ 7월 상순 하우스밀감가격 작년보다 9% 낮아

6월 하우스밀감 도매가격(상품 5kg)은 작년과 비슷하고 평년보다 23% 높은 2만 7,800원이었다. 이는 반입량이 작년보다 다소 늘었지만 품질이 좋고 대체과일 반입량도 적었기 때문이다.

7월 상순가격은 반입량이 증가하여 작년보다 9% 낮지만 평년보다는 21% 높은 2만 4,100원이다.

▶ 감귤 도매가격(상품)

주: 4월 1일~10월 10일까지는 월동 및 하우스온주 5kg을 10kg으로 환산한 가격임. 일별 가격은 전후 2일간을 포함한 5일 이동평균. 평년가격은 '01년 4월~'06년 3월 가격 중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하우스밀감 공급량 7월 7%, 8월 16% 감소 전망

6월까지 하우스밀감 공급량은 작년보다 3% 감소하였다. 7~8월 공급량도 조기 및 보통가온 재배면적과 출하의향이 감소하여 7월에 작년보다 7%, 8월에는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하우스밀감 공급량 전망

 

6월까지

7월

8월

9월 이후

공급량
(천톤)

'05

2.8

2.7

2.8

12.9

21.3

'06

2.7

2.5

2.4

11.1

18.8

증감률(%)

-3.0

-7.2

-15.8

-13.8

-11.8

주: '06년은 농업관측정보센터, 6월 19~28일 농가 및 모니터 조사에 의한 전망치임.
자료: '05년은 제주도자료임.

7~8월에 출하될 하우스밀감의 당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작년과 비슷한 11.5°Bx가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관은 병해충 발생이 적어 작년보다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7~8월 출하될 하우스밀감 당도 및 당산비 전망

 

당도(°Bx)

당산비

'05(A)

11.5

11.0

'06(B)

11.5

10.9

차이(B-A)

0.0

-0.1

주: 농업관측정보센터, 6월 19~28일 농가 및 모니터조사치.

■ 7월 하우스밀감 가격 작년 수준 전망

7월 하우스밀감가격은 감귤공급량이 7% 감소하지만 복숭아, 참외 등 대체과일 공급량이 증가하여 작년(상품 5kg 2만 4,100원)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노지감귤 착과량 10% 감소

노지감귤의 착과량은 작년 동기보다 1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해거리와 저온영향으로 과수원, 나무별로 착과량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와 남제주군이 5~8% 감소하였고 서귀포시와 북제주군은 11~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노지감귤 10a당 열매수 작년대비 증감률 추정

 

제주시

서귀포시

북제주군

남제주군

전체

증감률(%)

-7.5

-11.4

-17.5

-5.1

-9.8

주: 농업관측정보센터, 6월 19~28일 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 노지감귤 생산량 52~54만톤 전망

노지감귤의 성목단수는 착과량이 10% 감소하지만 과실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어 작년보다 7% 내외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작년보다는 낮지만 평년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올해 과실 비대 및 성숙기 기후조건이 평년과 비슷할 경우, 노지감귤 생산량은 작년보다 8% 내외 감소한 52~54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노지감귤 생산량 전망

단위: ha, kg/10a, 천톤

 

성목면적

성목단수

생산량

'05

18,642

3,084

575

'06

18,451

2,812~2,926

519~540

증감율(%)

-1.0

-8.8~-5.1

-9.8~-6.1

주: '06년 자료는 농업관측정보센터 6월 19~28일 농가 및 모니터 조사에 의한 전망치임.
자료: '05년 재배면적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생산량은 농업관측정보센터 자료임.

■ 7월 오렌지 수입량 감소 전망

5월 오렌지 수입량은 산지의 잦은 비로 공급량이 감소했고, 최근 몇 년간 5월 국내 오렌지가격 하락 영향으로 작년 동기보다 49% 감소한 1만 714톤이었다.

6월 수입량은 5~6월 국내가격 상승과 과채류 등 대체과일 공급량이 감소하여 작년 동기보다 117% 증가한 3,630톤이었다.

5~6월 수입단가는 산지 생산량 감소로 작년 동기보다 7~16% 높은 1.05~1.07US$(kg당)이었다.

국내 도매가격은 5월에 작년 동기보다 17% 높은 4만 2,800원(네이블 상품 18kg)이었고, 6월에는 68% 높은 3만 6,900원(발렌시아 상품 18kg)이었다.

7월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  된다. 이는 미국과 호주, 남아공의 수출 선적량이 생산량 감소와 산지기상 악화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8월 수입량은 올해 처음으로 수입허용 된 칠레산 수입영향 등으로 작년 수준(1,971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오렌지 수입량

단위: 톤

 

1~4월

5월

6월

7월

8~12월

연간

'04

128,136

14,479

1,147

575

10,107

154,444

'05

88,627

21,189

1,671

1,301

10,261

123,049

'06

97,454

10,714

3,627

-

-

111,795

평년

88,438

17,482

3,328

1,787

10,402

123,528

주: 평년은 '01~'05년 수입량 중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 '06년 6월 수입량은 일별 자료에 의한 농업관측정보센터 추정치.
자료: 관세청.

▶ 오렌지 도매가격(상품)

단위: 원/18kg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03

37,308

40,037

29,080

29,852

34,019

35,413

'04

30,846

24,000

32,136

41,185

50,923

45,208

'05

41,577

36,692

22,000

30,269

30,167

28,000

'06

34,840

42,796

36,947

 

 

 

평년

39,482

39,354

30,412

30,771

32,624

38,367

주: 12~5월은 네이블, 6~11월은 발렌시아 기준임. 평년은 '01~'05년 중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1 감귤의수출조건 관리자 2006-05-25 2582
30 [농사메모/한라봉 관리요령] 관리자 2006-05-25 2021
29 2005년 제주 감귤축제 관리자 2006-05-24 4337
28 감귤상식 관리자 2006-05-24 1643
27 감귤목초액 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효과 ‘탁월’ 관리자 2006-05-23 2429
26 호우에 따른 농작물 관리대책 관리자 2006-05-22 1457
25 2006년5월18일 전국 오렌지 가격비교 관리자 2006-05-18 1947
24 미국이 맺은 FTA분석 관리자 2006-05-09 1463
23 감귤 품평회 관리자 2006-05-04 1462
22 맛있는 한라봉생산, 기본 재배관리 실천이 중요 관리자 2006-05-04 1588
21 감귤원에서 천적 보호를 통한 응애류 종합관리 관리자 2006-05-04 1652
20 5월중 작목별 농업정보 관리자 2006-05-04 1953
19 2005년산 감귤 유통조절명령제 추진 결과 관리자 2006-05-04 1532
18 감귤아가씨 관리자 2006-05-03 1729
17 계절별 재배 관리자 2006-05-02 1641
16 감귤의 재배 관리자 2006-05-02 1567
15 감귤의 효능 관리자 2006-04-28 2192
14 감귤의 종류 관리자 2006-04-27 1874
13 한미FTA공식일정 관리자 2006-04-27 1655
12 일본 감귤산업의 구조조정과 시사점 관리자 2006-04-27 161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