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감귤의 역사와 변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13 17:06:37 ·조회수 : 29,525
1. 재래감귤재배의유래와 발전
제주도에서 감귤이 언제부터 재배되었느냐 하는 것은 확실한 연대가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고려사(高麗史)에 의하면 백제 문주왕 2년(서기 476년) 4월에 탐라에서 방물을 헌상(獻上)하
였다는 기록이있고, 고려 문종 6년(1052년) 3월에「탐라에서 세공하는 귤자의 수량을 1백포
로 개정한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봐서 제주도에서는 옛날부터 감귤이 재배되었음을알 수
있다.
고려시대까지는 어떤 종류나 재배에 대해서 명기된 것이 없으나 이조시대(李朝時代)에 들어
서면서부터 귤과 유(柚)는 별공(別貢)으로 해서 공납케 했으며 태종 8년에는 공부제(貢賦制)
가 실시되었다. 이때부터 감귤재배를 적극적으로 권장해서 각 지방마다 과원(果園)을 설치
하여 관노비(官奴婢)로 하여금 사역케 해서 재배에 종사하도록 했으며 특히 중종(中宗) 21년
( 1 5 2 6년) 이수동(李壽童) 목사가 진헌 목적으로 별방(別方), 명월(明月), 수산(水山), 서귀
(西歸), 동해(東海) 즉, 오방호소(五房護所)에 과원을 설치한 것이 집단화된 감귤단지 조성의
첫 시도라 하겠다. 그 후 효종대(孝宗代)에 와서 과원이 확대되어 제주목에 22개소, 정의(旌
義)에 7개소, 대정(大靜)에 6개소나 되었고 이시기가 제주도 감귤재배에 있어서 최성기라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생산된 감귤은 과실은 장원서(掌苑暑)에, 진피(陳皮)와 청피(靑皮) 및 지각(枳
殼)은 전의감(典醫監)과 혜민서(惠民暑)에 약제로 정량 상납하게 되었는데 흉작인 해에도 일
정한 양을 공납하게 되고 여기에 부족한 양을 확보하기 위해서 관가(官家)의 횡포와 수탈이
심해지자 민가(民家)에서는 재배하기를 기피하였고, 살아있는 나무에도 피상약을 뿌려
나무를 고사시켜 버리는 사례가 생겨 제주도 재래감귤의 수난기를 맞게 된다. 그후 1900년
대에 들어 개량감귤이 도입되면서 재래감귤은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고문헌에 기록된 재래감귤의 종류로는감자(柑子), 당감자(唐柑子), 유감(乳柑) ,
유자(柚子), 동정귤(洞庭橘), 청귤(靑橘) ,지각(枳殼), 석금귤(石金橘), 당금귤(唐金橘), 등자
귤(橙子橘), 병귤(甁橘), 왜귤(倭橘), 산귤(山橘), 금귤(金橘)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당유자,
유자, 산귤, 병귤, 동정귤, 청귤 및 지각만이 남아있다.
현재( 1 9 7 6년) 남아있는 재래감귤은 <표1 >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본수 1,351본중
당유자가 6 7 8본으로 제일 많은 편이고 산귤과 병귤은 다소 많은 편이나 동정귤은 1본, 그리
고 청귤은 6본이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표1> 재래감귤의 지역별 품종 현황
(단위:본)
|
당유자 |
산 귤 |
병 귤 |
유 자 |
지 각 |
청 귤 |
동 정 귤 |
미 상 |
계 |
제주시 |
79 |
34 |
27 |
5 |
4 |
2 |
- |
2 |
153 |
북제주군 |
347 |
181 |
40 |
21 |
4 |
- |
1 |
2 |
596 |
남제주군 |
252 |
122 |
165 |
48 |
9 |
4 |
- |
2 |
602 |
계 |
678 |
337 |
232 |
74 |
17 |
6 |
1 |
6 |
1,351 |
- 1976년말 현재
2. 개량 감귤의 도입
제주도에 개량감귤이 도입된 것은 1 9 1 1년 불란서 태생인 E s m i le J. Taquet(한국명 엄탁
가) 신부가 일본으로부터 기증받아 심은 것이 최초이며 현재 서귀포시 서홍동 복자수도원에
현존해 있다. 규모있는 감귤재배의 시작은 1913년
서홍동 분토왓(현 제주농원)에 일본인 미네(峰)라는 사람이 감귤원을 개원한 것이 그 시초이
다. 그 후 서홍동 가시머리지역과 하논 등 온난하고 샘이 있는 곳에 감귤원이 조성되었으며
농가에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1930년에 들어서부터 였다.
3. 발전과정
제주도 감귤산업의 발전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고대기(古代期, 1900년대 이전)
개량감귤이 재배되기 이전으로 재래감귤은 제주도의 특산물로 조정에 진상하고
또한 귀한 과실과 한약재로 활용하였다.
(2) 도입기(導入期, 1900~1944 )
1900년대에 서귀포 일부지역에 감귤원을 개원하면서부터 감귤재배가 시작되는데 일반농가
에 보급된 것은 1930년대에 들어서부터이다. 당시 식산진흥정책의 일환으로 각 농가에 감귤
묘목을 배포하였으나, 일부 농가에서는 감귤식재를 회피하기도 하였다. 그 이유는 일본산
감귤이 자유롭게 유입되어 감귤판로가 막힌점과 기술부족으로 정식해서 10~15년이 지나야
결실하기 때문이었다. 당시 재배면적 10여ha에 생산량 50톤 내외, 품종은 미장계(尾張系)의
보통온주밀감과 궁천조생, 그리고 소량의 하귤과 네이블오렌지 등 이였다.
(3) 황폐기(荒廢期, 1945~1952)
8·15 해방과 4·3사건 및 6·2 5동란은 제주도 감귤산업에 있어서 혼란기였다.
해방과 동시에 일본인이 경영하던 감귤원을 인수했으나 기술부족과 비료 및 농약
등의 자재를 확보할 수 없었으며 4·3사건이 돌발하여 과원을 방치하고 부락을 소개함에
따라 감귤원은 황폐되었다.
구 분 |
연 대 |
생산 및 산지형성 |
판매 및 소비형태 |
고 대 기 |
1900년 이전 |
|
|
도 입 기 |
1900 - 1944 |
|
|
황 폐 기 |
1945 - 1952 |
|
|
성 장 기 |
1953 - 1960 |
|
|
1961 - 1988 |
|
|
|
격 동 기 |
1989 - 현재 |
|
|
(4) 성장기(成長期, 1953~1988)
① 재건기(再建期, 1953~1960)
휴전이 성립되고 사회가 안정됨에 따라 감귤수요가 생기고 재배농가의 의욕도 점차로 회복
되어 재배면적이 몇년 사이에 1 7 h a에서 9 3 h a로 증가되었는데 이 시기는 제주도 감귤재
배의 재건기에 해당된다. 1954년도부터 일본산 묘목이 수입되기 시작했으며, 1950년대 후반
부터 국내에서도 묘목을 생산하게 되었다.
1 9 6 0년도에 감귤협동조합이 결성되었으며 1 9 5 8년부터 시험사업도 시작되었고, 재배지
역도 제주도 전지역으로 확대 되기 시작하였다. 당시에는 소비지 상인들이 산지에서 직접
구매하였으며 포장은 나무상자에 온주밀감은 7관, 하귤은 6관을 포장하여 판매하였다.
<표3> 일본산 묘목도입 수량
(수량 : 본)
연 도 |
1954 |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1960 |
1961 |
1962 |
수 입 량 |
10,532 |
7,337 |
11,958 |
6,494 |
1,800 |
6,194 |
18,118 |
11,020 |
30,018 |
연 도 |
1963 |
1964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총 계 |
수 입 량 |
38,000 |
12,200 |
26,349 |
115,752 |
303,980 |
289,260 |
998,370 |
1,604,300 |
3,492,482 |
- 제주도청 자료 참조
② 부흥기(復興期, 1961~1988)
1 9 6 7년부터 감귤증산계획이 수립되었고 일본으로부터 다량의 묘목이 수입되었다.
1 9 5 4년에 일본으로부터 감귤묘목을 수입하기 시작하였지만 본격적으로 수입이
시작된 것은 1 9 6 0년대이다. 감귤묘목 수입량을 보면 1 9 6 0년에 1 , 8 0 0여본에서 1 9 6 6
년에는 1 0만본 단위, 그리고 1 9 7 0년에는 연간 1 6만본에 이르렀다. 당시 일본산 묘목은 재
일교포를 중심으로해서 재산반입 및 기증형식으로 다량 수입하게 되었다.
감귤증산계획과 실적을 보면 1 9 6 7 ~ 1 9 7 1년까지의 1차계획에서는 계획대비 실적이 크
며 1 9 6 9년 이후에는 계획된 면적보다 4배 이상 목표를 초과하고 있다. 그래서 1 9 6 8년 보
완계획을 수립하였으나 실적이 목표치를 초과하고 있으며 기준년도인 1 9 6 5년도에 5 5 1 h
a에서 1 0년후인 1 9 7 5년 에는 2 0배가 증가한 1 0 , 9 3 0 h a에 이른다. 한편 이 기간 동안
특이한 사항은 기술적으로 계획밀식재배(計劃密植栽培) 방법이 도입되어 조기에 성원(成園)
이 이룩되면서 재배지역이 제주도 전역으로 확대하여 이른바 재배의 대중화가 이룩된 점과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감귤의 시설재배를 통한 고급품의 생산과 감귤의 단경기인 여름에
도 생산되는 주년생산 체재로 발전한 것 등이다.
<표4-2> 계획 및 실적
2차 계획 1967 - 1976(1967 - 1971, 1972 - 1976)
(1968년 5월 보안)
연 도 |
기 준연 도 (1965)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1985 |
|
계 획 |
면 적생산량 |
551 1,083 |
1,111 1,622 |
1,711 2,575 |
2,561 3,053 |
3,561 3,841 |
5,061 4,326 |
6,561 4,326 |
7,861 11,087 |
8,961 16,278 |
9,861 22,676 |
10,561 33,348 |
21,000 324,000 |
실 적 |
면 적생산량 |
|
995 1,621 |
1,472 3,549 |
3,466 2,643 |
5,002 4,972 |
5,840 5,972 |
5,840 5,972 |
8,408 26,231 |
9,923 30,618 |
10,930 81,105 |
|
|
계획대실 적 |
면 적생산량 |
|
0.9 0 |
0.9 1.4 |
1.4 0.9 |
1,4 1.3 |
1.2 1.4 |
1.2 1.5 |
1.1 2.4 |
1.1 2.4 |
1.1 3.6 |
|
|
5. 격동기(激動期, 1989~현재)
제주도 감귤산업은 6 0년대부터 증식되기 시작한 것이 생산량은 1 9 8 9년에 이르러
서는 전년도까지 4 0 0천톤 단위에서 7 4 6천톤으로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가격
파동을 비롯한 감귤산업 전반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현재까지도 2 ~ 3년 단위로 감귤
파동이 되풀이 되면서 격동기에 돌입하였다. 1989년 이후 풍작에 의한 가격파동은
1 9 9 2년도와 1 9 9 5년, 1997년, 그리고 1 9 9 9년에도 똑같은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더구나 1 9 9 3년 U R협상이 타결되어 1 9 9 5 년부터 오렌지수입이 허용되고 1 9 9 7년에 오
렌지 농축액이 전면 수입개방 되면서 제주도의 감귤산업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감귤산업이 현재에 이르는 동안 면적 및 생산량의 증가 현황을 보면 표5와 같다.
<표4-3> 계획 및 실적 (3차 계획 1972 - 1976)
(1972년 계획)
연 도 |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계 획 |
면 적 생산량 |
6,841 9,354 |
7,841 15,400 |
8,841 23,400 |
9,841 34,400 |
10,841 48,400 |
실 적 |
면 적 생산량 |
6,955 11,441 |
8,409 26,231 |
9,923 30,618 |
10,930 81,105 |
|
계 획대 실 적 |
면 적 생산량 |
1.0 1.2 |
1.1 1.7 |
1.1 1.3 |
1.1 2.4 |
|
<표5> 재배면적 및 생산량 증가 현황
(단위 : ha, 톤)
연 도 |
재 배 면 적 |
생 산 량 |
1953 |
17 |
75 |
1955 |
18 |
172 |
1960 |
93 |
191 |
1965 |
551 |
1,083 |
1970 |
4,842 |
4,972 |
1975 |
10,930 |
8,105 |
1980 |
14,094 |
18,470 |
1981 |
14,764 |
34,780 |
1985 |
16,969 |
394,300 |
1989 |
19,335 |
746,400 |
1990 |
19,414 |
492,700 |
1991 |
19,605 |
556,350 |
1992 |
21,727 |
718,700 |
1993 |
21,479 |
619,000 |
1994 |
21,448 |
548,945 |
1995 |
21,605 |
614,770 |
1996 |
25,802 |
479,980 |
1997 |
25,781 |
693,200 |
1998 |
25,860 |
543,980 |
1999 |
25,823 |
638,740 |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11 | 감귤식품의 종류 | 관리자 | 2006-04-25 | 1920 | |
10 |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9-12월) | 관리자 | 2006-04-24 | 2545 | |
9 |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1-4월) | 관리자 | 2006-04-21 | 3958 | |
8 |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 방안 | 관리자 | 2006-04-20 | 2238 | |
7 | FTA란...? | 관리자 | 2006-04-19 | 7691 | |
6 | 감귤껍질의 효능 | 관리자 | 2006-04-17 | 4778 | |
제주 감귤의 역사와 변천 | 관리자 | 2006-04-13 | 29525 | ||
4 | 제주감귤은 언제부터 재배됐을까? | 관리자 | 2006-04-13 | 2012 | |
3 | 한라봉품질기준(09월30일) | 관리자 | 2005-11-12 | 2349 | |
2 | 제주특별자치도감귤생산및유통에관한조례 | 관리자 | 2005-11-12 | 19066 | |
1 | 선과망크기 | 관리자 | 2005-10-18 | 49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