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9-12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4 17:13:01      ·조회수 : 2,545     

고품질 감귤 생산 관리 기준 -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구분

9월

10월

11월

12월

  • 상순:가을순이 자라는 시기이며 열매비대가 왕성한 시기
  •  

  • 중순:가을순이 왕성하게 자라고 당축적이 시작되며 극조생은 착색이 시작되고 화아분아가 형성되는 시기
  •  

  • 하순:극조생은 성숙과 착색이 되고 조생온주는 착색이 시작되며 세 번째 뿌리가 자라기 시작하는 시기
  • 상순:가을순 자라는 것이 멈추고 조생온주가 착색이 시작되며 극조생이 80-90%착색, 출하하는 시기
  •  

  • 중순:당은 축적이 되고 산은 감산이 완만하게 되는 시기
  •  

  • 하순:조생온주 착색이 60-70%되고 당이 증가되며 산은 계속 낮아지는 시기
  • 상순:열매는 자라는 것이 완만하고 당도가 올라가고 산은 감산되기 시작하는 시기
  •  

  • 중순:착색이 본격적으로이루어지며 당도는 계속 증가하는 시기

     

  • 하순:잎과 뿌리활동이 둔화되며 조생온주는 완전착색이 되는 시기이며 보통온주는 착색이 이루어지는 시기

     

  • 상순:잎이 퇴색되고 뿌리활동이 정지되며 보통온주 완숙시기
  •  

  • 중순:탄수화물이 가지나 잎에 많이 저장되며 잎의 활동이 저하

     

  • 하순:잎의 활동력 저하, 뿌리 활동 완전 정지

 

 

  • 수상선과
  • 접목(탱자대목에 아접시행)
  • -9월은 아접 및 복접의 적기임

     

  • 일소방지
  • 가을전정

    -전정후 연내 발아가 안되기 위해서는 9월말 또는 10월 상순이라야 전정이 가능

  • 가을전정
  • 부패경감 및 착색촉진
  • -착색초기부터 10일간격으로 탄산석회 살포

  • 가을비료 시용

    -극조생은 10월 하순, 조생은 11월 상순이 적기

  • 극조생 온주밀감 수확
  • -착색이 되고 과실성분이 충분히 성숙된 과실부터 수확함

 

  • 조생온주 수확
  • -착색이 80%이상 되고 당산비가 10이상인 과실부터 수확

  • 가을비료 시용
  • -10월하순에 가을비료 시용이 안된과원은 11월상,중순까지 마침

  • 애조처리
  • -저장밀감은 과실중량이 3-5% 감소할 때까지 과피부분을 말려 줌. 20 이상의 고온에서 하는 것이 효과적임

  • 완숙과 수확
  • 저장
  • -예조가 끝난 밀감은 온도 3-5 , 습도 85%내외의 조건에 저장

    -저장 초기에는 환기를 철저히 하여 고온, 다습에 주의

  • 수확후 수세회복
  • -11월에 이어 12월에도 수확이 완료 되는대로 수세가 저하된 나무는 맑은 날을 택하여 영양제 엽면시비함.

 

   기온

 

   (℃)

평균26.6

평균22.7

평균17.8

평균18.8

평균12.6

평균13.7

평균8.0

평균8.9

최고29.6

최고25.6

최고21.1

최고22.9

최고15.8

최고17.8

최고10.9

최고13.1

최저24.1

최저19.7

최저14.5

최저15.3

최저9.4

최저10.1

최저5.0

최저5.4

  • 흑점병
  • -흑점병이 많이 걸리는 과원 또는 가을비가 많이 내린 경우는 9월 상순에도 흑점병을 방제하는 것이 바람직함.

     

  • 갈색부패병
  • -8월 하순부터 수확기에 발병하며 해에 따라 발병정도에 차이가 큼. 한 두 개의 과실이라도 발병하면 유기동계통의 역병약을 살포함

     

  • 귤응애
  • -9월은 응애밀도가 다시 높아지는 시기이고 과실에 피해를 주므로 적기방제 필요

  • 기타해충
  • -노린재,초록애매미충 등의 발제도 필요한 시기임

  • 귤응애, 풀노린재, 초록애매미충, 흡즙나방 방제 필요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

    - 수확전 사용일수 및 연간 사용획수 준수

    - 잔류농약 기준이 바뀐 농약이 많으므로 살포전에 반드시 확인

 

 

 

 

 

 

 

 

 

 

  • 귤응애

    - 가을응애는 8 까지 발육하므로 11월에 응애밀도가 높으면 저장중에도 과실에 피해가 발생되므로 안전사용기준에 맞추어 약제방제

     

  • 부패병(저장병해 예방)
  • -저장할 과실은 수확 7일전에 베푸란+톱신엠 또는 벤레이트 혼용살포

 

 

 

 

 

 

 

 

  • 수확전 응애방제가 안된 과원은 12월에 기계유유제 60-80배살포, 수세가 약하거나 추운 날씨가 계속되면 3월에 살포함.
  • 부패병(저장병해 예방)
  • -저장과실은 11월과 마찬가지로 수확전 부패병 예방 필요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 감귤식품의 종류 관리자 2006-04-25 1921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9-12월) 관리자 2006-04-24 2545
9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1-4월) 관리자 2006-04-21 3959
8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 방안 관리자 2006-04-20 2238
7 FTA란...? 관리자 2006-04-19 7691
6 감귤껍질의 효능 관리자 2006-04-17 4778
5 제주 감귤의 역사와 변천 관리자 2006-04-13 29526
4 제주감귤은 언제부터 재배됐을까? 관리자 2006-04-13 2012
3 한라봉품질기준(09월30일) 관리자 2005-11-12 2350
2 제주특별자치도감귤생산및유통에관한조례 관리자 2005-11-12 19066
1 선과망크기 관리자 2005-10-18 498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