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9-12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4 17:13:01 ·조회수 : 2,545
구분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생 리 상 태 |
|
|
|
|
||||||||||||
|
|
|
|
|||||||||||||
주 요 농 작 업 |
-9월은 아접 및 복접의 적기임
-전정후 연내 발아가 안되기 위해서는 9월말 또는 10월 상순이라야 전정이 가능 |
-착색초기부터 10일간격으로 탄산석회 살포
-극조생은 10월 하순, 조생은 11월 상순이 적기
-착색이 되고 과실성분이 충분히 성숙된 과실부터 수확함
|
-착색이 80%이상 되고 당산비가 10이상인 과실부터 수확
-10월하순에 가을비료 시용이 안된과원은 11월상,중순까지 마침
-저장밀감은 과실중량이 3-5% 감소할 때까지 과피부분을 말려 줌. 20℃ 이상의 고온에서 하는 것이 효과적임 |
-예조가 끝난 밀감은 온도 3-5℃ , 습도 85%내외의 조건에 저장 -저장 초기에는 환기를 철저히 하여 고온, 다습에 주의
-11월에 이어 12월에도 수확이 완료 되는대로 수세가 저하된 나무는 맑은 날을 택하여 영양제 엽면시비함. |
||||||||||||
기온
(℃) |
제 주 시 |
평균26.6 |
서 귀 포 시 |
평균22.7 |
제 주 시 |
평균17.8 |
서 귀 포 시 |
평균18.8 |
제 주 시 |
평균12.6 |
서 귀 포 시 |
평균13.7 |
제 주 시 |
평균8.0 |
서 귀 포 시 |
평균8.9 |
최고29.6 |
최고25.6 |
최고21.1 |
최고22.9 |
최고15.8 |
최고17.8 |
최고10.9 |
최고13.1 |
|||||||||
최저24.1 |
최저19.7 |
최저14.5 |
최저15.3 |
최저9.4 |
최저10.1 |
최저5.0 |
최저5.4 |
|||||||||
병 해 충 방 제 |
-흑점병이 많이 걸리는 과원 또는 가을비가 많이 내린 경우는 9월 상순에도 흑점병을 방제하는 것이 바람직함.
-8월 하순부터 수확기에 발병하며 해에 따라 발병정도에 차이가 큼. 한 두 개의 과실이라도 발병하면 유기동계통의 역병약을 살포함
-9월은 응애밀도가 다시 높아지는 시기이고 과실에 피해를 주므로 적기방제 필요
-노린재,초록애매미충 등의 발제도 필요한 시기임 |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 - 수확전 사용일수 및 연간 사용획수 준수 - 잔류농약 기준이 바뀐 농약이 많으므로 살포전에 반드시 확인
|
-저장할 과실은 수확 7일전에 베푸란+톱신엠 또는 벤레이트 혼용살포
|
-저장과실은 11월과 마찬가지로 수확전 부패병 예방 필요
|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11 | 감귤식품의 종류 | 관리자 | 2006-04-25 | 1921 | |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9-12월) | 관리자 | 2006-04-24 | 2545 | ||
9 |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1-4월) | 관리자 | 2006-04-21 | 3959 | |
8 |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 방안 | 관리자 | 2006-04-20 | 2238 | |
7 | FTA란...? | 관리자 | 2006-04-19 | 7691 | |
6 | 감귤껍질의 효능 | 관리자 | 2006-04-17 | 4778 | |
5 | 제주 감귤의 역사와 변천 | 관리자 | 2006-04-13 | 29526 | |
4 | 제주감귤은 언제부터 재배됐을까? | 관리자 | 2006-04-13 | 2012 | |
3 | 한라봉품질기준(09월30일) | 관리자 | 2005-11-12 | 2350 | |
2 | 제주특별자치도감귤생산및유통에관한조례 | 관리자 | 2005-11-12 | 19066 | |
1 | 선과망크기 | 관리자 | 2005-10-18 | 49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