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감귤 주요 병해충 방제시 개선해야할 사항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2 13:59:55      ·조회수 : 2,628     

현재 일부 농가에서의 병해충 방제실태를 보면 비경제적이고 또는 비합리 적으로 행하여지는 사례가 있어 몇 가지 지적과 앞으로의 합리적인 실천 방안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1. 창가병은 저온성 병해

창가병은 병에 걸린 가지나 잎에서 월동한 후 이듬해 잎 또는 열매가 조직이 굳어지기 전에 주로 발생되어 피해를 주는데 발아기(4월 상준순)에 1차방제, 낙화기(5중순)에 2차방제, 1차 생리낙과기(6상중순)에 3차방제를 하면 된다.

2. 창가병약 특성 올바로 이해

침투성살균제는 농약성분이 침투 이행되어 일정기간 동안 약효가 지속되어 잎, 어린열매에 침입하는 병균에 직접 살균작용을 한다. 반면에 보호살균제는 농약 보호막을 형성하여 병균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3.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농약사용 자제

일부지역에서 값이 싸다하여 창가병에 방제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안빌유제”를 사용하는 사례가 있어 효과를 검정한 결과 우선 약효는 톱신엠수화제 수준으로 미흡하고, 혼용시 돌발적인 약해 등 문제가 나타났다.

4. 맺 음 말

감귤원 병해충종합관리(IPM)기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감귤원 생태계를 이해하려고 하는 노력이 절대 필요하며, 단지 추천하는 방제모델만 준용한다고 해서 가능한 것은 아니다.
거듭 강조하거니와 감귤원에 발생하는 모든 병해충은 감귤원 생태계에서 나무의 영양상태, 수형, 토양관리와, 각각의 병해충의 발병환경, 즉 전염원, 해충의 월동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경종적, 물리적방제를 반드시 실천한 후에 추천하는 화학적방제을 적용하였을 때 확실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이점에 특히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보다자세한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바랍니다.

36감귤병해충방제시개선.hwp 다운로드1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 감귤식품의 종류 관리자 2006-04-25 1922
10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9-12월) 관리자 2006-04-24 2546
9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1-4월) 관리자 2006-04-21 3960
8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 방안 관리자 2006-04-20 2239
7 FTA란...? 관리자 2006-04-19 7693
6 감귤껍질의 효능 관리자 2006-04-17 4780
5 제주 감귤의 역사와 변천 관리자 2006-04-13 29526
4 제주감귤은 언제부터 재배됐을까? 관리자 2006-04-13 2013
3 한라봉품질기준(09월30일) 관리자 2005-11-12 2350
2 제주특별자치도감귤생산및유통에관한조례 관리자 2005-11-12 19067
1 선과망크기 관리자 2005-10-18 498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