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제주감귤의 발전방향 모색 감귤산업과 연구동향 국제세미나 열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22 09:14:10      ·조회수 : 3,012     

▲ 21일 오전 제주시 칼호텔서 [감귤 산업과 연구 동향] 국제세미나가 열렸다. 최근 주요 감귤생산국과의 FTA 추진으로 제주 감귤산업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의 감귤산업과 연구동향을 통해 제주감귤의 발전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제주대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주최로 21일 제주 칼호텔 2층 대회의실에서‘감귤 산업과 연구동향’국제세미나가 열려 미국 플로리다, 멕시코, 중국, 터키, 이스라엘의 감귤산업과 연구동향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한국의 감귤 생산량은 세계에서 20위로 2위인 브라질, 3위인 중국, 12위인 터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유율이 낮다. 또한 대부분이 제주에서 생산되며 99%가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의 과일 생과 수출실적은 약 200만t이며, 이 가운데 감귤은 사과에 이어 2위를 기록, 수출량은 전체의 22.9%인 45만t에 이르고 있다. 이는 지난 1985년 5만t과 비교하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수치다.

또 중국은 올해부터 전면적으로 특별작물세를 폐지하는 등 감귤생산증진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감귤산업 육성을 위한 지방정부의 조직과 농민조직이 속속 확대되고 있다.

터키는 고품질 감귤생산으로 생과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터키내 주요 감귤재배지의 지중해성 기후는 고품질 감귤 생산에 적합해 현재 면화와 곡물류 재배 농가가 감귤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다.

문두길 감귤국제세미나 조직위원장은 “감귤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해 세계 각국의 감귤 산업과 연구개발에 대한 정보구축과 교류가 필요했다”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제주감귤산업의 발전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민일보 8/21 김효영 기자

제주감귤의 발전방향 모색  감귤산업과 연구동향 국제세미나 열려

제주감귤의 발전방향 모색  감귤산업과 연구동향 국제세미나 열려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 감귤식품의 종류 관리자 2006-04-25 1924
10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9-12월) 관리자 2006-04-24 2546
9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1-4월) 관리자 2006-04-21 3962
8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 방안 관리자 2006-04-20 2241
7 FTA란...? 관리자 2006-04-19 7695
6 감귤껍질의 효능 관리자 2006-04-17 4782
5 제주 감귤의 역사와 변천 관리자 2006-04-13 29526
4 제주감귤은 언제부터 재배됐을까? 관리자 2006-04-13 2015
3 한라봉품질기준(09월30일) 관리자 2005-11-12 2350
2 제주특별자치도감귤생산및유통에관한조례 관리자 2005-11-12 19070
1 선과망크기 관리자 2005-10-18 498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