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관측정보(8월-감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7 13:26:48 ·조회수 : 2,842
2006년 8월 감귤가격동향 |
||||||||||||||||||||||||||||||||||||||||||||||||||||||||||||||||||||||||||||||||||||||||||||||||||||||||||||||||||||||||||||||||||||||||||||||||
■ 7월 상순 하우스밀감가격 작년보다 9% 낮아 6월 하우스밀감 도매가격(상품 5kg)은 작년과 비슷하고 평년보다 23% 높은 2만 7,800원이었다. 이는 반입량이 작년보다 다소 늘었지만 품질이 좋고 대체과일 반입량도 적었기 때문이다. 7월 상순가격은 반입량이 증가하여 작년보다 9% 낮지만 평년보다는 21% 높은 2만 4,100원이다. ▶ 감귤 도매가격(상품) 주: 4월 1일~10월 10일까지는 월동 및 하우스온주
5kg을 10kg으로 환산한 가격임. 일별 가격은 전후 2일간을 포함한 5일 이동평균. 평년가격은 '01년 4월~'06년 3월 가격 중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임. ■ 하우스밀감 공급량 7월 7%, 8월 16% 감소 전망 6월까지 하우스밀감 공급량은 작년보다 3% 감소하였다. 7~8월 공급량도 조기 및 보통가온 재배면적과 출하의향이 감소하여 7월에 작년보다 7%, 8월에는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하우스밀감 공급량 전망
주: '06년은 농업관측정보센터, 6월 19~28일 농가 및
모니터 조사에 의한 전망치임. 7~8월에 출하될 하우스밀감의 당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작년과 비슷한 11.5°Bx가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관은 병해충 발생이 적어 작년보다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7~8월 출하될 하우스밀감 당도 및 당산비 전망
주: 농업관측정보센터, 6월 19~28일 농가 및 모니터조사치. ■ 7월 하우스밀감 가격 작년 수준 전망 7월 하우스밀감가격은 감귤공급량이 7% 감소하지만 복숭아, 참외 등 대체과일 공급량이 증가하여 작년(상품 5kg 2만 4,100원)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노지감귤 착과량 10% 감소 노지감귤의 착과량은 작년 동기보다 1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해거리와 저온영향으로 과수원, 나무별로 착과량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와 남제주군이 5~8% 감소하였고 서귀포시와 북제주군은 11~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노지감귤 10a당 열매수 작년대비 증감률 추정
주: 농업관측정보센터, 6월 19~28일 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 노지감귤 생산량 52~54만톤 전망 노지감귤의 성목단수는 착과량이 10% 감소하지만 과실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어 작년보다 7% 내외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작년보다는 낮지만 평년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올해 과실 비대 및 성숙기 기후조건이 평년과 비슷할 경우, 노지감귤 생산량은 작년보다 8% 내외 감소한 52~54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노지감귤 생산량 전망 단위: ha, kg/10a, 천톤
주: '06년 자료는 농업관측정보센터 6월 19~28일 농가
및 모니터 조사에 의한 전망치임. ■ 7월 오렌지 수입량 감소 전망 5월 오렌지 수입량은 산지의 잦은 비로 공급량이 감소했고, 최근 몇 년간 5월 국내 오렌지가격 하락 영향으로 작년 동기보다 49% 감소한 1만 714톤이었다. 6월 수입량은 5~6월 국내가격 상승과 과채류 등 대체과일 공급량이 감소하여 작년 동기보다 117% 증가한 3,630톤이었다. 5~6월 수입단가는 산지 생산량 감소로 작년 동기보다 7~16% 높은 1.05~1.07US$(kg당)이었다. 국내 도매가격은 5월에 작년 동기보다 17% 높은 4만 2,800원(네이블 상품 18kg)이었고, 6월에는 68% 높은 3만 6,900원(발렌시아 상품 18kg)이었다. 7월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 된다. 이는 미국과 호주, 남아공의 수출 선적량이 생산량 감소와 산지기상 악화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8월 수입량은 올해 처음으로 수입허용 된 칠레산 수입영향 등으로 작년 수준(1,971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오렌지 수입량 단위: 톤
주: 평년은 '01~'05년 수입량 중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 '06년 6월 수입량은 일별 자료에 의한 농업관측정보센터 추정치. ▶ 오렌지 도매가격(상품) 단위: 원/18kg
주: 12~5월은 네이블, 6~11월은 발렌시아 기준임.
평년은 '01~'05년 중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임. |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공지 | 제주농산물 자율적 수급안정을 위한 지원 조례 | 총무기획부 | 2024-11-14 | 685 | |
공지 |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 2 | 감귤부 | 2024-10-04 | 1011 |
공지 |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 2 | 감귤부 | 2024-10-04 | 1382 |
공지 | 선과망크기규격(2015.9.1 시행) | 관리자 | 2015-09-16 | 13587 | |
공지 | 감귤착색기준표_2004.10. | 관리자 | 2004-10-19 | 20363 | |
171 | 2023년산 감귤유통처리분석 자료집 | 사이트마스터 | 2024-10-22 | 786 | |
170 | 2022년산 감귤유통처리분석 자료집 | 기획정보과 | 2023-10-31 | 1558 | |
169 | 2021년산 감귤유통처리분석 자료집 | 기획정보과 | 2022-10-13 | 1952 | |
168 | 2020년산 감귤유통처리분석 자료집 | 기획정보과 | 2021-10-20 | 2255 | |
167 |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 2 | 기획정보과 | 2020-10-21 | 5995 |
166 |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 기획정보과 | 2020-10-21 | 8166 | |
165 | 2019년산 감귤유통처리분석 자료집 | 기획정보과 | 2020-10-06 | 5001 | |
164 |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 기획정보과 | 2020-01-03 | 5193 | |
163 |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 기획정보과 | 2020-01-03 | 3678 | |
162 | 2018년산 감귤유통처리분석 자료집 | 기획정보과 | 2019-09-27 | 6978 | |
161 | 2017년산 감귤유통처리 분석 자료집 | 기획정보과 | 2018-10-04 | 7113 | |
160 |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 기획정보과 | 2017-10-18 | 11415 | |
159 |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 기획정보과 | 2017-10-18 | 22016 | |
158 | 2016년산 감귤유통처리분석 자료집 | 1 | 기획정보과 | 2017-10-17 | 10754 |
157 |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 기회정보과 | 2017-06-19 | 4680 | |
156 |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 기획정보과 | 2017-06-19 | 4151 | |
155 | 2015년산 감귤유통처리분석 자료집 | 기획정보과 | 2016-09-21 | 31232 | |
154 | 선과망규격의 변경내용 | 기획정보과 | 2015-11-10 | 6589 | |
153 | 2014년산 감귤유통처리분석 자료집 | 관리자 | 2015-09-16 | 8873 | |
152 | 2013년산 유통처리분석 자료집 | 관리자 | 2014-10-08 | 3913 |